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아카이브24

마지노선 뜻 역사 특징 실패 교훈 마지노선은 프랑스가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의 침공을 막기 위해 동부 국경을 따라 구축한 방어 요새입니다. 엄청난 준비에도 불구하고 무용지물이 되면서 실패로 남은 방어의 예술이 되었습니다. 마지노선의 뜻, 역사, 특징, 실패, 교훈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목차    마지노선 뜻 마지노선(Ligne Maginot, Maginot Line)은 1929년~1939년까지 프랑스가 나치 독일의 침공을 대비해 국경을 따라 설치한 대규모 요새 지대입니다. 마지노선이라는 이름은 요새 건설을 주장한 전쟁부 장관인 앙드레 마지노(André Maginot)의 이름에서 유래했어요.  마지노선은 원래 독일군의 공격을 완전히 방어하기 위해 벨기에 국경까지 완전히 확장될 예정이었어요. 하지만 독일 침공에 희생될 것을 걱정.. 2024. 10. 28.
상점의 역사, 물물교환에서 온라인 쇼핑까지 우리나라는 유난히 자영업자가 많고 상점도 많습니다. 저 수많은 상점들은 언제부터 생겨났을까요. 상점의 역사는 인류의 경제와 소비문화의 발전을 반영합니다. 물물교환과 상점의 등장부터 현대의 온오프라인 쇼핑까지 상점의 역사를 함께 알아봅시다.     목차    1. 상점의 기원: 교환에서 상점으로 상점의 기원은 인류가 물건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상점은 주로 물물교환의 형태로 존재했으며, 점차 발전하여 첫 번째 상점으로 이어졌습니다. 1-1. 물물교환 시대의 특징 1-1-1. 물물교환의 개념 정의: 물물교환이란 두 사람이 서로 필요로 하는 물건을 직접 교환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화폐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 사람들은 실질적인 물건을 교환하여 필요한 것을 확보했습니다.예시: 한 농부가 자신이 .. 2024. 10. 26.
개천절 이야기 4. 한민족, 우리의 자화상 개천절은 단군이 한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세운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천절 이야기 마지막 편으로 한민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민족의 개요, 기원, 형성, 언어와 문자, 민속 문화, 전통 생활 문화 등을 함께  알아봅시다.    목차한민족 (韓民族) 개요 한민족은 한국어를 사용하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공동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는 아시아계 민족이라고 정의할 수 있어요.‘한인(韓人)’이라고도 하며, 북한과 일본에서는 ‘조선민족(朝鮮民族)’이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중국에서는 조선족(朝鮮族), 러시아나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고려인(高麗人)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피부색이 황갈색인 몽골로이드(Mongoloid) 인종에 속합니다. 갈색 눈, 흑색의 곧은 머리, 평평한 얼굴과 코 등이 특징이죠. 한국인.. 2024. 10. 1.
개천절 이야기 3. 고조선 건국 멸망 개천절을 맞아 살펴보는 개천절 이야기 1, 2편은 각각 홍익인간, 단군신화와 단군에 대해 알아봤어요. 개천절 이야기 3편은 고조선의 건국과 멸망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고조선 개요 고조선(古朝鮮, 기원전 5세기 이전~기원전 108년)은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한반도 최초의 고대 국가입니다. 역사학계는 일반적으로 고조선이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중국 랴오닝성~북한 황해도~평안도~함경도~강원도에 있던 고대 국가라고 파악하고 있어요.  문헌상의 기록에 따라 실존했던 국가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관련 기록이 적고 추상적이죠. 직접적인 유물·유적이 발견되지 않아서 고조선의 연대, 영토, 역사 등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요.  고조선 국호 원래 국호는 조선(朝鮮)이지만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2024.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