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아카이브116

7월 8월 9월 탄생목 (동양), 배롱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 동양의 탄생목 1편과 2편에서 1~3월 탄생목과 4~6월 탄생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3편은 7~9월로 배롱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입니다.     목차    7월: 배롱나무 (Crape Myrtle Tree) 탄생목인 이유 배롱나무는 한여름인 7월에 만개하는 꽃나무로,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도 눈부시게 피어나는 특성이 있어 7월을 대표합니다. 이 나무는 화려함과 열정을 상징하며, 여름의 강렬한 에너지를 닮은 나무로 여겨집니다.   의미 배롱나무는 열정과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 이 나무는 특히 뜨거운 여름날에 피어나는 꽃으로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당당히 드러내는 힘을 상징합니다. 또한, 꽃말로는 ‘사랑의 기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특징 배롱나무는 화려한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을 피우.. 2024. 10. 5.
4월 5월 6월 탄생목 (동양), 느티나무 대나무 뽕나무 1편에서 동양의 1~3월 탄생목으로 소나무, 자작나무, 복숭아나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편은 4~6월로 느티나무, 대나무, 뽕나무입니다.      목차    4월: 느티나무 (Zelkova Tree) 탄생목인 이유 4월은 봄이 무르익는 시기로, 느티나무는 잎이 무성하게 자라며 따뜻한 기운을 내뿜는 나무입니다. 느티나무는 성장의 상징이 되어, 새 생명이 도약하는 봄을 나타내는 중요한 나무로 여겨집니다.  의미 느티나무는 인내와 강한 생명력을 상징하며, 성장을 뜻하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동양의 정자나 산책로에 자주 심어져 사람들이 쉬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왔습니다. 평화와 안정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특징 느티나무는 넓고 강하게 뻗어나가는 가지와 두꺼운 잎이 특징이며, 그늘을 잘 드리워.. 2024. 10. 4.
1월 2월 3월 탄생목 (동양), 소나무 자작나무 복숭아나무 각 달을 나타내는 탄생목은 주로 서구 위주로 되어 있죠. 한국 등 동양의 탄생목을 알아봅니다. 월별 탄생목과 그 달의 탄생목인 이유, 의미, 특징, 상징, 역사를 시리즈로 살펴봅시다. 1편은 1~3월로 소나무, 자작나무, 복숭아나무입니다.     목차    1월: 소나무 (Pine Tree) 탄생목인 이유 1월은 겨울의 한가운데로, 자연이 잠든 계절이지만 소나무는 늘 푸른 잎을 유지하며 생명력을 과시합니다. 이처럼 소나무는 한겨울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며 푸름을 간직해 왔기에 1월의 탄생목으로 상징됩니다.   의미 소나무는 강인함과 인내의 상징으로, 고난을 이겨내는 불굴의 의지와 청렴함을 대표합니다. 이 나무는 동양 문화에서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도 자주 사용되며, 외부 환경에 .. 2024. 10. 4.
손 없는 날 뜻 날짜 10월 손 없는 날 손 없는 날이라는 게 무슨 말일까요. 날에 손이 없다? 손은 사람 손은 아닐 테고 아마도 손해를 뜻하는 것 같은데요. 손 없는 날의 뜻, 날짜를 알아봅시다. 2024년 10월 손 없는 날은 언제인지도 같이 알아봅니다.       목차    손 없는 날 뜻 손(損)은 한자어로 '덜 손'입니다.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은 같습니다.1. 덜다, 줄이다2. 줄다, 감소(減少)하다3. 잃다, 손해(損害)를 보다  손 없는 날에서 '손(損)'은 음력 날짜에 따라 동서남북으로 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해코지한다는 악귀나 악신을 뜻해요.'손 없는 날'이란 악귀가 없는 날입니다. 귀신이나 악귀가 돌아다니지 않아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길한 날을 의미하죠.   손 없는 날음력 날짜로 끝자리가 9와 0인 날이 손.. 2024.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