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 있는 24절기는 청명과 곡우입니다. 모두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절기입니다. 청명, 곡우의 뜻, 날짜, 의미를 알아봅니다. 24절기를 이해하는 기본 개념인 황도, 황경도 함께 알아봅니다.
목차
청명 뜻 날짜
1) 청명 뜻
청명(淸明)은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죠. 청명이라는 이름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입니다. 절기상 춘분(春分)~곡우(穀雨) 사이에 있습니다. 청명은 황경이 15도에 있을 때인데요. 황경은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합니다.
2) 청명 날짜
청명은 음력 3월로 양력으로는 4월 4~5일 무렵에 듭니다. 2025년은 4/4일 금요일입니다. 한식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도 있어요. 식목일과 겹치는 경우도 자주 있지요.
24절기와 황도, 황경
1) 황도
황도(黃道) 란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에 투영된 궤도입니다. 쉽게 말해서 지구에서 봤을 때 1년간 태양이 하늘을 움직인 길입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움직임을 연결하면 360도인 원이 됩니다. 실제로는 지구가 태양을 1년에 1바퀴 돌기 때문에 지구의 공전 궤도면과 일치하죠.
여기서 천구(天球)란 지구를 둘러싼 거리가 무한대인 가상의 구를 말합니다. 지구에서 보는 별까지의 거리는 다 다르지만 시각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는 듯 보이므로 만들어낸 개념이지요.
2) 황경
황경(黃經)은 황도를 나타내는 좌표의 경도를 말합니다. 천구의 적도면에 대하여 황도는 약 23도 27분 기울어져 있어요.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춘분점, 추분점이라 합니다. 춘분점을 기점인 0도로 하여 황도를 따라서 동쪽으로 돌아 0도에서 360도까지 잽니다.
3) 24절기
춘분점 0도를 기준으로 동쪽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면서 15도마다 절기가 바뀝니다. 360도를 24절기로 나누면 15도마다 한 절기에 해당하게 되죠. 춘분 바로 다음 절기인 청명은 황경 15도가 됩니다.
청명 의미
1) 새 불을 만든 청명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청명에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쳤다고 해요.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과 고을 수령에게 나눠줬어요 이를 불을 내린다는 의미로 사화(賜火)라 했어요.
수령들은 한식날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눠줬는데요.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했어요.
2) 농사일이 시작
청명이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대부분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하여 봄일을 시작했어요.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했지요.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입니다.
청명 무렵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작업이죠. 다음 절기인 곡우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일꾼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청명~곡우 무렵이면 서둘러 일꾼을 구하기도 했어요.
청명에는 날씨와 관련된 얘기가 많아요.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쳤어요.
3) 청명 날씨
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날씨를 표현했어요. 초후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4) 성묘, 나무 심기 등
청명에 나무를 심기도 했는데요.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어요. 성묘를 가기도 했어요.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 묏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손이 없는 날이라고 생각 헸어요.
5)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한식과 청명은 보통 하루 사이이므로 하루빨리 죽으나 늦게 죽으나 별 차이가 없음을 일컫는 속담이죠.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라고도 합니다.
곡우 뜻 날짜
1) 곡우 뜻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穀雨)는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입니다. 청명(淸明)~입하(立夏) 사이에 있어요. 황경 30도가 되는 절기입니다.
곡우는 봄철의 마지막 절기로 청명 다음으로 15일 이후가 됩니다. 봄철을 맞이하여 새싹과 새순이 돋아나고 영농기를 맞이하는 시기죠. 농사시기를 본격적으로 알리는 절기입니다.
이 시기쯤 되면 겨울의 한기가 남아 있지 않고 완연한 봄 날씨를 보여요. 최근 온난화로 이 무렵부터 여름 날씨를 보이기도 하지요.
2) 곡우 날짜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20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2025년도 4/20일 일요일입니다
곡우 의미
1)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농사와 관련된 다양한 속담이 전해집니다.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속담이죠.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급니다.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뒀어요. 부정을 탔거나 액운이 낀 사람은 볍씨를 볼 수 없도록 가마니를 덮어뒀다고 해요.
2) 우전차와 곡우물
차(茶) 중에서 곡우 전에 찻잎을 따서 만든 차를 우전차라고 불러요. 곡우 이후에 딴 차(우후차)에 비해 더 품질이 좋다고 평가를 받아요.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르는 시기로 산속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가는 풍습도 있었어요. 곡우물은 자작나무나 박달나무 수액으로 거자수라고도 하는데요.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청명, 곡우의 뜻, 날짜, 의미와 24절기를 이해하는 기본 개념인 황도, 황경을 알아봤어요. 청명이나 곡우는 봄철을 맞아 본격적인 농사철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청명, 곡우를 맞아 개인적으로 올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씨를 뿌리는 시즌이 되길 바랍니다.